국적이탈신고

국적이탈신고
신고 절차 및 필수 서류

카카오.jpg

카카오톡

KAKAO TALK

웨이신.jpg

웨이신

WECHAT

라인.jpg

라인

LINE

왓츠앱.png

왓츠앱

WHATSAPP

카카오 qr 300x290 1.jpg

카카오톡

Kakao Talk

웨이신 300x300 1.jpg

웨이신

Wechat

line 150x150 1.jpg

라인

LINE

왓츠앱 1.png

왓츠앱

Whats app

복수국적자의 고민, 국적이탈 신고 절차 및 필수 서류

해외에서 태어나거나 유년 시절부터 해외에서 거주하며 한국 국적과 함께 외국 국적을 동시에 갖게 된 복수국적자라면 한번 쯤 고민하게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국적이탈’입니다.
한국인으로 살아가기에는 현실적인 제약이 따르고, 외국인으로서의 삶에 더 집중하고자 할 때 한국 국적을 정리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하지만 국적이탈 신고는 단순히 서류 몇 장을 제출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특히 남성의 경우 병력 문제와 직결되어 있어 매우 신중하고 정확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94)

국적이탈 신고란?

국적이탈 신고는 ‘출생과 동시에’ 한국 국적과 외국 국적을 모두 취득한 복수국적자가 대한민국 국적을 포기하고 외국 국적만을 선택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후천적으로 외국 국적을 취득하게 되어 한국 국적이 자동으로 상실되는 국적상실과는 명확히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국저상실과의 차이점

국적이탈

선천적 복수국적자가 한국 국적을 포기하는 것

국적상실

한국인이 자발적으로 외국 국적을 취득하여 한국 국적이 상실되는것

국적이탈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한국 국적을 정리하는 절차이므로, 법무부 장관에게 신고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누가, 언제 국적이탈 신고를 해야 하나요?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99)
일반적인 우

국적이탈 신고는 외국에 주소를 두고 거주하는 사람에 한해 해당 주소기 관할 재외공관(영사관)을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 만 15세 이상인 경우에는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하며, 15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이 대신 신고할 수 있습니다.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2025 09 10t145604.048
남성 복수 국적자의 특별한 시기: 병역의무

남성 복수국적자에게 국적이탈 신고 기한은 절대 놓쳐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대한민국 국적법상, 병역의무가 부과되는 남성은 만 18세가 되는 해의 3월 31일 이전까지 국적이탈 신고를 마쳐야만 병역의무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2025 09 10t145616.238
기한 경과 시

만약 이 기한을 넘겨 4월 1일 이후에 신고를 하는 경우에는 병역을 필했거나 면제받았음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해야만 국적이탈이 가능합니다. 이 시기를 놓치게 되면 사실상 국적이탈이 매우 어려워지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국적이탈 신고 절차

국적이탈 신고는 다음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전체 소요 기간은 약 1년 정도이므로, 미리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01.

서류 준비 및 관할 영사관 확인

제출해야 할 서류를 꼼꼼히 확인하고,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관할 영사관이 어디인지 파악합니다.

02.

영사관 방문 및 신고서 제출

준비된 서류를 가지고 직접 영사관에 방문하여 국적이탈 신고를 접수합니다.

03.

법무부 심사

영사관을 통해 접수된 서류는 법무부로 이관되어 심사를 받게 됩니다. 심사 과정에서 서류 보완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

04.

국적이탈 허가 및 통보

심사가 완료되어 국적이탈이 허가되면, 해당 결과가 영사관을 통해 본인에게 통보됩니다. 이후 외국 여권만으로 생활할 수 있게 됩니다.

국적이탈 신고 시 필수 서류 목록

국적선택과 이중 국적2

FAQ

국적이탈신고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남성의 경우 만 18세가 되는 해 3월 말까지 신고해야 병역 문제와 충돌하지 않습니다.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병역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신고 시기에 제한은 없지만, 조속히 신고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대한민국 국적자가 유지된 상태로 간주되며, 1. 병역의무 발생, 2. 출입국 제한, 3. 외국 국적 활용에 제약 등의 불이익이 따를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관할 구청 또는 출입국/외국인청, 해외에서는 재외공관(대사관/영사관)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보통 1~2개월 정도 소요되며, 서류 미비나 심사 상황에 따라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